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1년 연봉 실수령액 확인해보세요

by 나의뒷모습 2021. 7. 4.

2021년-연봉-실수령액-포스팅

 

2021년 연봉 실수령액 얼마인지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연봉 2200만 원부터 1억 원까지의 2021년 연봉 실수령액 표를 준비했습니다. 이번에 2021년 연봉 실수령액 표를 만들면서 다시 한번 공제 금액이 정말 크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직장 생활하면서 연봉 1억을 목표로 세우고 있었는데 연봉이 1억 원이더라도 실수령액은 650만 원 정도네요. 아직은 연봉 1억에 한참 멀어서 열심히 회사 다녀야겠습니다.

 

1. 2021년 연봉 실수령액

아래 표에 연봉, 월급, 공제액 그리고 실수령액 정리해보았습니다. 표에서 자신의 연봉에 해당되는 구간에서 실수령액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업종, 부양가족 여부, 비과세 항목 등에 따라 실수령액이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연봉 2200만원 ~ 2900만원 구간

 

2200만원부터-2900만원-2021년-연봉실수령액

 

2) 연봉 3000만원 ~ 3900만원 구간

 

3000만원부터-3900만원-2021년-연봉실수령액

 

3) 연봉 4000만원 ~ 4900만원 구간

 

4000만원부터-4900만원-2021년-연봉실수령액

 

4) 연봉 4000만원 ~ 5900만원 구간

 

5000만원부터-5900만원-2021년-연봉실수령액

 

5) 연봉 6000만원 ~ 10000만원 구간

 

6000만원부터-1억원-2021년-연봉실수령액

 

2021년 시간당 최저임금은 8720원이며 이를 월급(1일 8시간, 주 40시간 주휴수당 포함)으로 환산하면 1,822,480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저임금 기준으로 계산한 연봉보다 낮은 연봉을 기업에서 책정할 경우, 최저임금법 위반에 해당되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 2021년 4대 보험요율

월급에서 4대 보험료, 소득세, 지방 소득세 등이 원천징수된 게 실수령액입니다. 각종 보험과 소득세 등은 회사에서 원천징수한 후 직원들에게 실수령액을 지급하게 됩니다.

 

그중 가장 원천징수 금액이 큰 2021년 4대 보험요율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요율은 근로자가 부담해야 하는 요율입니다. 아래 보시면 산재보험의 경우, 요율이 0%인데요. 이는 국가가 사업주에게 보험료를 징수하여 기금을 마련하고 산재가 발생했을 때 기금으로 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1) 국민연금 : 4.5%

2) 건강보험 : 3.43%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의 11.52%

3) 고용보험 : 0.8%

4) 산재보험 : 0%

 

 

 

 

오늘은 2021년 연봉 실수령액 알아봤습니다. 연봉이 올라도 매년 소득세나 4대 보험 공제 금액도 같이 오르기 때문에 사실 실수령액은 크게 오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 만약 연봉 동결일 경우에는, 실수령액은 작년보다 줄어들 수도 있고요. 물가도 해마다 오르다 보니 더더욱 그렇게 느낄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모든 직장인들 파이팅입니다. 

 

댓글